woodburning 2

도깨비너와 귀면상 우드버닝 Pyrography

크기 : A4 size 재료 : 삼나무 도깨비문양(귀면상)을 우드버닝해서 도깨비너와에 버닝하였습니다. 명암을 표현하는 방식이 아닌 나무를 태우다 보면 음각이 되는 걸 활용해 보았는데 느낌이 괜찮아서 시도해보았지요. 버닝의 새로운 느낌이 나는지요? 태워서 음각으로 조각이 되어 단 차이가 나기 때문에 또 하나의 우드버닝 조각기법이 생겼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무서운 얼굴모습으로 부처님과 법당을 지켜 준다고 하나 괴기스럽게 느껴지지 않고 매우 인간적이고 해학적으로 보이는 것이 우리나라 귀면의 특직이라고 하지요. 귀면 문양이 삿된 것을 물리치기 위한 벽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건축물의 지붕 끝에 올리는 귀면와나 귀면 형태의 문고리 등 건축물에 귀면이 많이 사용되어왔습니다. 이것은 사악한 잡귀신들이 집안으로 들..

우드버닝 - 기본도형 양감표현과정

.우드버닝이 나무를 태워서 그림을 그리는 형식이라고 해서 기본도형의 양감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인 소묘하고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단지 연필의 누르는 압력으로 톤을 결정하는 것과는 달리 우드버닝은 태움의 원리인 온도나 접촉시간이 톤의 변화를 달리 하게 만드는데요. 톤을 결정하는 방식에 조금만 익숙해 지면 연필로 도형의 양감을 표현하는 것 처럼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말로 설명하니 좀 복잡해진 감이 있는데 태워서 톤을 표현하는 동영상을 곧 첨부해서 올리겠습니다. . 기본중의 기분도형이 구형태인데요. 빛의 방향에 따라 하이라이트와 빛의 흐름이 바뀌기 때문에 조명각도에 따른 변화를 정확하게 잡아내는 것이 관건입니다. 크기 : 재료 : 자작합판 우드버닝 기초 커리큘럼에서 기본 도형으로 양감을 표현하..

반응형